아산 푸드플랜 수립 토론회 ‘아산시 푸드플랜 어떻게 할 것인가’
아산 푸드플랜 수립 토론회 ‘아산시 푸드플랜 어떻게 할 것인가’
  • 천안아산신문
  • 승인 2018.10.19 16: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먹거리 생산·유통·소비·폐기 전 과정 시민참여 로컬순환시스템 구축해야

지역사회 식량자원 순환모델의 지속성을 위한 새로운 그림이 나왔다. 이른바 생산과 가공, 유통, 소비, 폐기물 자원화 등에 대한 먹거리 체계 구축을 위한 공공영역의 계획적 대응전략인 ‘아산푸드플랜’이다. 푸드플랜은 수입농산물과 GMO 식품 등 안심할 수 없는 먹거리산업 체제에서 지역농업을 보호하며 잘못된 식습관을 바로잡아 질환을 예방하고 음식물 쓰레기 억제, 취약계층 배려 등 사회적 비용 감소까지 총체적으로 망라한 먹거리 계획이다.

지난 11일(목) 오후 2시 아산시청소년교육문화센터에서 아산푸드플랜을 구체화하기 위한 ‘아산푸드플랜수립토론회’가 열렸다. 아산의 단단하고 안전한 시민 먹거리 확보를 위해 푸드플랜의 커다란 구상을 발표하고 앞으로 풀어갈 문제들을 토론하는 자리였다.
토론회는 좌장인 단국대학교 김 호 교수가 진행했으며 첫 번째로 강명화 아산시푸드플랜추진위원장(호서대학교 교수)이 주제발표를 했다. 강명화 위원장은 아산푸드플랜의 구체적 실천 로드맵을 위해 아산의 다양한 현황자료를 보여주며 그에 따른 전략 및 효과와 액션 모델을 제시했다. 이어 김종안 지역농업네트워크 이사장은 우리가 직면한 먹거리 문제를 언급하며 푸드플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자료들을 설명했다. 특히 김 이사장은 “필수재인 식량의 안보와 식량 주권 확보를 위해 국가재정을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장의 농민으로서 꾸준한 생산자로 지내온 안복규 친환경농업생산자연합회장은 아산지역 로컬푸드 공급현황을 열거하며 “로컬푸드 소비촉진을 위해서는 광역생산자와의 연대와 시민 대상 확대 계획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소비자의 의견도 제시됐다. 박수경 (사)한국여성소비자연합 충남지회장은 “외식문화가 발달하고 혼밥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수입농산물이 없으면 이런 식문화가 마비될 정도로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수입농산물 의존도가 높다”며 “실제 로컬푸드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낮아 인식개선이 시급하다”고 피력했다. 박종우 아산시푸드플랜추진위원회 책임간사는 “아산의 푸드플랜과 신활력플러스사업은 크게 먹거리 시민양성과 생산자 재조직화로 방향을 잡아나가고 있다”며 “농업과 농촌의 위기를 풀어가기 위한 문제의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청중으로 참여한 한 농민은 “아산 인구가 30만이 넘는데 정말 지역 먹거리를 먹는 시민이 얼마나 될 것 같냐. 10%도 안 된다. 이런 사실을 알고 제대로 된 푸드플랜을 세워주길 바란다”고 건의했다.
아산시가 안전한 식량자원순환의 모델로 먹거리 중심 지역사회 발전 전략을 구축한 것은 전국적인 추세에 발맞춘 추진 사례다. 하지만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고민보다는 안전한 먹거리에 초점을 맞춘 푸드시스템을 다뤘다. 또 이날 토론회에서는 생산 유통 소비 등 전 과정을 아우르는 듯했으나 음식쓰레기 재자원화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강명화 위원장은 “마땅한 폐기물 전문가를 아직 찾지 못했다. 제대로 논의할 수 있는 전문가를 영입해 오늘 나온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노준희 기자 dooaium@hanmail.net